분류 전체보기 (57)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프리카 골프장의 악어와 닭 아프리카에 가면 기린, 사자를 쉽게 볼 수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이런 친구들을 만나려면 결국 동물원에 가야 했습니다. 그래도 원숭이, 악어, 도마뱀 정도는 비교적 쉽게 볼 수 있었는데, 특히 도마뱀은 도심 여기저기에서 자주 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골프장에서 만난 동물들에 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도도히 굽이쳐 흐르는 강줄기같은 이것은? 이 녀석은 나이지리아 골프장에서 만난 동물입니다. 무엇일까요? 제가 만든 아래 유트브 동영상을 클릭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com/shorts/U2GnkEjORMs?si=D0O6yp45Wf_-IGSu 아프리카 골프장에서 제일 흔하게 만났던 동물이 개미와 모기입니다. 둘다 아주 작은 존재들이지만, 전투력이 상당합니다. 건드리면 끝까지 .. 아프리카 바오밥 주스의 맛은? 바오밥(Baobab) 나무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아마 2 가지 정도를 떠올리실 것 같습니다. 하나는 어린 왕자에 나오는 바오밥 나무일 것 같고요, 다른 하나는 매끈하게 일자로 뻗은 바오밥 나무일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제가 세네갈이나 앙골라에서 본 바오밥 나무는 이렇게 낭만적인 모습이 아니었습니다. 전체적인 외양은 작달막하고 퉁퉁한 모습이었으며, 가지는 흩날리는 마녀의 머리카락처럼 기괴한 느낌을 주었습니다. 뿌리와 줄기가 뒤바뀐, 줄기가 거꾸로 처박힌 것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하였는데요, 이와 관련해서는 몇 가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를 소개하면, 하이에나가 집어던진 바오밥 나무 조물주가 동물들에게 나무를 나누어 주었는데, 하이에나는 바오밥 나무를 받았습니다. 바오밥 나무가 마음에 들지.. 젊음의 대륙, 아프리카 이번 글에서는 아프리카의 인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전 세계 인구 현황부터 살펴보면,1. 전 세계 인구 수Worldometers의 집계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인구는 81억 명 정도입니다. 이중 아시아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은데, 전 세계 인구의 절반을 훨씬 뛰어넘는 47.5억 명입니다(59% 비중). 세계 인구 1위인 인도와 중국이 아시아에 있으니, 크게 놀랄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지역인구 수비중증가율(연간)평균 연령아시아47.5억59%0.6%32아프리카14.6억18%2.4%19유럽7.4억9%-0.2%42중남미6.6억8%0.7%31북미3.8억5%0.5%38오세아니아4.5억1%1.2%33 국가별로 보면,현재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인도입니다(14.4억). 그 뒤를 이어 중국, 미국, .. 아프리카의 경제규모 세계 육지면적의 23%, 인구의 18%(15억)를 차지하는 아프리카는 어느 정도의 경제규모를 갖고 있을까요? 1. 아프리카의 GDP / 무역규모 GDP를 기준으로 가늠해 보면, `23년 아프리카의 명목 GDP는 2.8조 달러로 전 세계 GDP 규모의 3% 수준에 불과합니다(우리나라 GDP 규모는 1.7조 달러). 절대적으로도 아주 작은 수치이며, 전 세계에서 아프리카가 차지하는 면적이나 인구에 비해서도 매우 작은 숫자입니다. GDP per Capita의 경우, 아프리카는 $2,370로 타 지역 대비 절대적인 열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3년 GDP_ IMF 예상] 지역 명목 GDP 비중 GDP per Capita 아시아/태평양 38.4조 달러 37% 8,388 달러 북아메리카 31.6조 달러 30% 6.. 이슬람과 기독교로 갈라진 아프리카 대륙 아프리카에는 15억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다음으로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는데, 전 세계 81억 인구 중 차지하는 비중이 18% 정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프리카 사람들이 어떤 종교를 믿고 있는지 간략히 살펴 보고자 합니다. 남북으로 양분된 아프리카의 종교 아프리카 하면 토속신앙이 먼저 떠오릅니다만, 현재 아프리카 사람들 대부분은 기독교나 이슬람교를 신봉하고 있습니다. 기독교 비중이 49%, 이슬람교가 46%로 두 종교가 아프리카를 양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신도 수를 기준으로 우세 종교를 지도에 표시해 보면, 아래와 같이 사하라 사막을 중심으로 아프리카가 둘로 갈라집니다. 사하라 사막 주변과 위쪽은 이슬람교가 절대적이며, 동아프리카 및 남아프리카 지역에서는 기독교 우세가 뚜렷합니다. .. [말리(Mali)] 쿠데타와 테러의 나라에서 갑부가 된 인도 소년 아프리카에 살면서 여러 친구들을 사귀었는데,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친구가 불라니(Mr. Bulani)입니다. 인도 출신으로, 10대의 어린 나이에 서아프리카로 건너와 온갖 고생을 하며 꿋꿋이 자기 사업을 일구었고, 50대 중반이 된 지금,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그는 말리를 중심으로 주변국인 부르키나파소(Burkinafaso), 니제르(Niger)에 집중하여 가전제품/중고차/자전거/식료품 등 다양한 유통사업을 하고 있고, 앞으로는 가전제품 생산까지 도전할 계획이라 합니다. 또한 기니(Guinea)라는 국가에 고급 호텔을 갖고 있기도 합니다. 이 모든 일을 자기 혼자 할 수 없으니, 조카 등 친척들을 대거 인도에서 불러왔고, 5층짜리 건물로 된 Bulani House를 지어 이들과 함께 숙식을 하.. 생우유를 마시기 힘든 아프리카 2년 전 아프리카의 슈퍼마켓에서 찍었던 우유 사진입니다. 큰 글씨로 699라는 가격이 쓰여 있고, 그 아래 작은 글씨로 UHT라는 영어가 적혀 있습니다. UHT는 Ultra Heat Treatment, 또는 Ultra High Temperature의 약자인데요, 130도가 넘는 초고온에서 살균처리한 우유라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주로 먹는 생우유가 아닙니다. 멸균우유입니다. 맛도 좀 이상한 것 같고, 방부제를 넣었는지 유통기한도 엄청 긴 그 우유입니다. 우유를 좋아하다 보니, 이거라도 마셔야 해서 멸균우유에 대해 공부해 보았습니다. 한 마디로 영양 등에 있어 생우유와 큰 차이가 없고, 방부제를 넣은 것도 아니었습니다. [생우유 vs. 멸균우유]- 살균처리 온도 : 생우유 130~135도에서 최대 .. 배에서 전기를 만들어 쓰는 아프리카 잦은 정전, 아프리카에서 살기 힘든 이유 중 하나입니다. 외국인들이 주로 사는 지역의 전력 사정은 그나마 낫긴 합니다만, 그래도 수시로 전기가 나갑니다. 저의 주무대였던 나이지리아의 경우, 하루에도 몇 번씩 전기가 나갔다 들어왔다 했습니다. 낙후된 지역은 물론 사무실이 모여 있는 도심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전국적으로 정전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살기 위해 발전기(Generator)를 돌리지만, 발전기로 인해 죽기도 하는 아프리카의 현실 문제는 얼마나 빨리 다시 들어오느냐인데요, 이건 발전기에 달렸습니다. 정전이 잦다 보니, 웬만한 가정이나 건물은 자가 발전기를 돌립니다. 연료로 디젤유 등을 사용하는데, 매연과 소음 때문에 창문을 열어 놓을 수가 없습니다. 제가 근무했던 건물은 대형 발전기를 돌렸는데, 소음.. 역비행! 오른쪽 나라를 가려면 먼저 왼쪽으로 가야 하는 아프리카 아프리카에서 살아 보니, 아프리카는 살기 힘들고 위험한 곳입니다. 물론 부자 동네 등 일부 지역은 그래도 괜찮습니다만, 전반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야 하는 곳입니다. 그중 오늘은 살기 힘든 것 중 하나인 비행기 타기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방금 전, 앙골라에서 살고 있는 한국 친구에게서 연락이 왔습니다. 아주 열받는다고요. 아주 열받은 이유는 항공편 취소 때문이랍니다. 항공편 취소가 늘 발생하는 아프리카에서, 그것도 앙골라에 산지 20년이 넘는 친구가 열받는 걸 보면, 비행기 타는 건 언제나 힘든 일인 것 같습니다. 이야기를 들어 보니, 열받을 만합니다. 원래 13:30분 출발 예정이었던 비행기가 11시에 조기 출발한다는 통지를 받고, 부랴부랴 공항에 갔는데, 갑자기 13시로 지연되었다 합니.. 우리나라와 아프리카간의 무역규모 2030 세계박람회 유치는 예상과 달리 참패로 끝이 났습니다. 사실 참패가 예견된 상황이었으나, 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였고, 이에 따라 제대로 대응을 못한 것 같습니다. 국제박람회 기구(BIE) 회원국은 182개 국가이며, 이들은 공평하게 각자 한 표의 의결권을 행사합니다. 그런데 가장 많은 회원 수를 보유하고 있는 지역 중 하나가 바로 아프리카입니다.아프리카는 49개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유럽과 같은 숫자이며, 이 두 지역의 회원 수를 합하면 전체 회원국 수의 50% 이상이 됩니다. 따라서 아프리카와 유럽, 특히 그간 제대로 신경을 쓰지 못한 아프리카에 대한 전략적이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했던 상황이었습니다. 더욱이, 사우디가 오일 머니를 활용하여 가난한 아프리카를 유인할 것이 명약관화했.. 이전 1 2 3 4 5 6 다음